유대 사마리아 지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대 사마리아 지역은 성경에서 유래된 유대와 사마리아를 포괄하는 지역으로, 고대 이스라엘 왕국과 관련이 있다. 1967년 6일 전쟁 이후 이스라엘은 서안 지구를 점령하고 이 지역을 '유대 사마리아'로 명명했으며, 이는 이스라엘 우파의 영토 통합 주장을 반영한다. 이스라엘 내에서는 정치적 입장에 따라 '서안 지구'와 '유대 사마리아'라는 명칭이 다르게 사용되며, 국제 사회에서는 이스라엘의 영유권을 인정하지 않고 '요르단강 서안 지구'로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이 지역은 이스라엘 중앙 사령부의 군법 통치를 받으며, 8개의 군사 행정 구역으로 나뉘어 관리된다. 유대 사마리아 지역에는 이스라엘 정착촌이 건설되어 있으며, 이는 국제법 위반으로 간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지리 - 사마리아
사마리아는 갈릴리, 지중해, 요르단강, 유대와 경계를 이루는 지역으로, 북이스라엘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다양한 시대의 지배를 거쳐 오늘날 요르단강 서안 지구 북부의 이스라엘 정착촌과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행정 구역이 공존하는 지역이며, 사마리아-세바스테 유적과 게리짐산 등의 고고학 유적지가 있다. -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지리 - 팔레스타인 분할안
팔레스타인 분할안은 1947년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결의안 181호로, 영국 위임 통치령 팔레스타인을 아랍 국가와 유대 국가로 분할하는 내용이지만, 아랍 국가의 반발을 야기하여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의 원인이 되었고 분쟁의 근본적인 해결에 이르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이스라엘의 구 - 텔아비브구
텔아비브구는 이스라엘 해안 평야에 위치하며 다른 국가나 요르단강 서안 지구와 접경하지 않는 구로, 텔아비브-야포를 중심으로 하이테크, 금융, 관광업이 발달했고 국제적인 문화 행사가 열리는 이스라엘 경제 및 문화 중심지이다. - 이스라엘의 구 - 북부구 (이스라엘)
북부구는 이스라엘 북부에 위치하며 레바논, 시리아, 요르단, 팔레스타인, 하이파 구와 접하고, 갈릴리, 갈릴리 호수, 골란 고원, 에즈렐 평야 등의 지형을 포함하며, 아랍인이 다수를 차지하고 다양한 종교가 분포하는 행정 구역이다. - 지명에 대한 분쟁 - 충주호
충주호는 충주댐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 호수로, 충주시와 제천시가 호수 명칭을 두고 논쟁 중이며 민간에서는 권역별 명칭이 혼용되고 있다. - 지명에 대한 분쟁 - 데리
데리는 북아일랜드의 도시로, 아일랜드어에서 유래한 이름과 17세기 런던 길드의 지배로 인한 개칭 이름이 공존하며 정치적, 종교적 선호도에 따라 지명 사용이 나뉘는 곳으로, 6세기 수도원 설립과 17세기 재건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유대 사마리아 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유형 | 이스라엘 행정 구역 |
관할 지역 | 요르단강 서안 지구 |
명칭 유래 | 유대, 사마리아 |
행정 | |
수도 | 아리엘 |
통계 | |
면적 | 5,878 제곱킬로미터 |
인구 | 502,991명 (이스라엘 유대인, 2023년 1월 기준); C 구역의 팔레스타인인 180,000-300,000명 |
인구 기준 연도 | 2021년 |
명칭 | |
한국어 | 유대와 사마리아 지역 |
히브리어 | (에조르 예후다 베쇼므론) |
아랍어 | (야후다 와-사-사마라) |
2. 명칭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에서 이스라엘이 승리하면서 요르단강 서안 지구 전체를 점령했다. 같은 해 12월 17일, 이스라엘 방위군은 군법 명령 187호를 통해 "유대 사마리아(지구)"를 "(요르단강) 서안 지구"의 대체 행정명으로 공포했다.[10] 1968년 7월 22일, "정부 지명 위원회"는 아랍어 지명을 히브리어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유대 사마리아 지구"를 정식 명칭으로 채택했다.[12]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42는 이스라엘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 점령을 무효로 규정했으며, 현재도 대다수 국가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국제 연합과 대한민국을 포함, 이스라엘의 영유권을 인정하지 않는 국가 및 지역에서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 (또는 "서안")라는 명칭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2. 1. 성서적 기원
유대 사마리아 지역은 성경에 나오는 유대와 사마리아라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유대는 유다 왕국(남부 왕국) 영역에 해당하며, 사마리아는 이스라엘 왕국(북부 왕국) 영역에 해당한다. 1947년 국제 연합의 팔레스타인 분할안에서도 이 용어가 사용되었다.2. 2. 1967년 중동 전쟁과 이스라엘의 명명
1967년 6일 전쟁에서 이스라엘군은 요르단이 합병한 서안 지구를 점령했다. 점령 이후, 이스라엘 우파는 이 지역을 히브리어 이름으로 부르며, 역사적, 종교적, 민족주의적, 안보적 근거를 들어 이스라엘에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8][9] 1967년 12월, 이스라엘 군정은 "'유대 사마리아 지역'이라는 용어는 모든 목적에서 '서안 지구 지역'이라는 용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는 명령을 내렸다.[10] 1968년 초, "유대 사마리아"는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12] 그러나 이 용어는 이 지역에 대한 이스라엘의 주권을 확대하려는 주창자인 메나헴 베긴이 이스라엘 총리로 선출된 1977년까지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11][12][13][14]"유대 사마리아"에서 '유대'는 예루살렘 남쪽의 모든 지역을, '사마리아'는 예루살렘 북쪽의 모든 지역을 의미한다. 1980년, 동예루살렘은 이스라엘에 의해 사실상 합병되었고, 이후 민간 행정 하에 있었으므로 유대 사마리아 지역의 행정 구조에서 제외된다.
이스라엘에서는 "서안 지구"(הַגָּדָה הַמַּעֲרָבִית|HaGadah HaMaʽaravit|he) 또는 "점령지"(השטחים|HaShtahim|he)라는 이름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어느 용어를 선호하는지는 이스라엘 정치 스펙트럼에서 화자의 입장을 나타낸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평화 프로세스에 따라 영토 철수를 지지하는 좌파는 "서안 지구"를 선호하는 반면, 영토가 영구적으로 이스라엘 행정 하에 있어야 한다고 보는 우파는 "유대 사마리아"를 사용한다.
1967년, 이스라엘은 제3차 중동 전쟁에서 승리하여 요르단강 서안 지구 전체를 점령했다. 이스라엘 방위군은 12월 17일, 군법 명령 187호로 "유대 사마리아(지구)"를 "(요르단강) 서안 지구"를 대체하는 행정명으로 공포했다.
1968년 7월 22일, 아랍어 지명을 히브리어로 대체하기 위해 설치된 정부 지명 위원회에서 "유대 사마리아 지구"가 정식으로 채택되었다.
이스라엘의 요르단강 서안 지구 점령은 국제 연합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42에 의해 무효로 간주되었으며, 현재도 대다수의 국가에서 인정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국제 연합 및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이스라엘의 영유권을 공인하지 않는 국가 및 지역에서는 "요르단강 서안 지구(또는 단순히 "서안")"라는 호칭이 계속 사용되고 있다.
3. 법적 지위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결의안 242는 전쟁을 통한 영토 획득은 인정될 수 없다고 명시하며, 이스라엘군이 점령지에서 철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15] 유엔, 미국,[16][17] 국제사법재판소, 유럽 연합,[18] 국제앰네스티,[19] 휴먼 라이츠 워치,[20] 베첼렘[21][22] 등은 서안 지구(동예루살렘 포함)를 팔레스타인 영토로 간주한다. 이스라엘 대법원은 동예루살렘을 제외한 서안 지구를 이스라엘 점령 영토로 판결했다.[23]
2012년 레비 보고서는 국제법상 유대 사마리아를 "점령 영토"로 칭할 법적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지만,[25] 국제사회의 주류적 견해는 아니다. 대한민국을 포함한 대다수 국가는 이스라엘의 서안 지구 점령을 인정하지 않으며, '서안 지구'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4. 행정 구역
유대 사마리아 지역은 이스라엘 중앙 사령부의 군법 통치를 받으며, 다음과 같이 8개의 군사 행정 구역으로 나뉜다.[1]
- 메나셰 (제닌 지역)
- 하비카 (요르단 계곡)
- 쇼므론 (세겜 지역, 아랍어로는 나블루스로 알려짐)
- 에프라임 (툴카름 지역)
- 빈야민 (라말라/알 비레 지역)
- 마카빔 (마카빔 지역)
- 에치온 (베들레헴 지역)
- 예후다 (헤브론 지역)
4. 1. 이스라엘 정착촌
유대 사마리아 지역에는 이스라엘 정착촌이 건설되어 있으며, 이는 국제법 위반으로 간주된다.도시 | 지방 자치 단체 | 지역 의회 |
---|---|---|
valign="top" | | valign="top" | | valign="top" | |
참조
[1]
뉴스
Jewish settler population in the West Bank surpasses half a million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23-12-29
[2]
웹사이트
Area C=
https://www.btselem.[...]
[3]
서적
The Handbook of Israel's Political Syste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4-30
[4]
웹사이트
Statistical Abstract of Israel 2012
http://www1.cbs.gov.[...]
2013-01-15
[5]
간행물
Study On The Geographic Coverage Of Israeli Data
http://www.oecd.org/[...]
[6]
서적
Targeted Killings and International Law: With Special Regard to Human Rights and 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1-12-01
[7]
웹사이트
ODS HOME PAGE
https://documents-dd[...]
2020-02-16
[8]
서적
The Israel-Palestine Conflict: Contested Historie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9-19
[9]
서적
Israel / Palestine
https://books.google[...]
Polity
2012-06-11
[10]
서적
International Law and the Administration of Occupied Territories: Two Decades of Israeli Occupation of the West Bank and Gaza Strip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Riddle of Nationalism: The Dialectic of Religion and Nationalism in the Middle East
Logos, vol. 1, no 3
[12]
서적
Trapped Fools: Thirty Years of Israeli Policy in the Territories
Routledge
[13]
서적
Israeli Visions and Divisions: Cultural Change and Political Conflict
Transaction Publishers
[14]
서적
Influence of the Middle East Peace Process on the Hebrew Language
Undoing and Redoing Corpus Planning, Michael G. Clyne (ed.)
[15]
웹사이트
Resolution 242 of 22 November 1967
http://daccess-dds-n[...]
UN
2012-05-31
[16]
웹사이트
West Bank
https://www.cia.gov/[...]
CIA, USA
2011-10-17
[17]
웹사이트
Disputes - International: Gaza Strip
https://www.cia.gov/[...]
CIA, USA
2011-10-17
[18]
웹사이트
Middle East Peace process
https://eeas.europa.[...]
EEAS (European External Action Service)
2016-11-30
[19]
웹사이트
Annual Report 2011
http://thereport.amn[...]
Amnesty International
2011-10-17
[20]
웹사이트
Israel and the Occupied Territories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1-10-17
[21]
웹사이트
Land Expropriation and Settlements in the International Law
http://www.btselem.o[...]
B'Tselem
2011-10-17
[22]
웹사이트
Legal Consequences of the Construction of a Wall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y (Request for advisory opinion) - Summary of the Advisory Opinion of 9 July 2004
http://www.icj-cij.o[...]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2004-07-09
[23]
뉴스
The High Court of Justice HCJ 7957/04 ruling on the fence surrounding Alfei Menashe
http://www.haaretz.c[...]
2005-09-15
[24]
웹사이트
In about-face, Israeli ministers block bill to annex West Bank settlements
http://www.haaretz.c[...]
2012-05-31
[25]
웹사이트
Validate Settlements, Israeli Panel Suggests
https://www.nytimes.[...]
2012-07-09
[26]
웹사이트
Localities And Population, By Population Group, District, Sub-District And Natural Region
http://www.cbs.gov.i[...]
イスラエル中央統計局
2023-03-26
[27]
웹사이트
「寛容な占領」神話の蹉跌
https://ir.ide.go.jp[...]
2024-01-05
[28]
뉴스
イスラエル、パレスチナ系住民含む全米国市民の入国を容認へ
https://jp.reuters.c[...]
2024-01-05
[29]
웹사이트
イスラエルの情報
https://www.logos-mi[...]
イスラエル外務省
2024-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